반응형
- 책 이름 / 부분 1-1 : 사용자를 사로잡는 UX/UI 실전가이드
- 내용 요약 :
UX/UI 디자인 진행과정 : 주로 사용되는 더블 다이아몬드(Double Diamond) 프로세스- 발견 (Discover): 사용자의 니즈를 발견하고 문제를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리서치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합니다.
- 정의 (Define): 발견한 문제를 바탕으로 전략을 수립하고 콘셉트를 도출합니다. 페르소나나 저니 맵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특성과 경험을 분석합니다.
- 발전 (Develop):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고 실질적인 디자인 작업을 진행합니다. 정보 구조화와 와이어프레임을 제작하여 디자인을 발전시킵니다.
- 전달 (Deliver): 디자인을 완성하고 비주얼 디자인을 진행합니다. 내부 테스트를 거쳐 오류를 수정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품을 전달합니다.
UI 디자인 - UI 디자인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디자인의 약자로,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디자인입니다. 쉽게 말해, 제품이나 서비스의 시각적 구성 요소를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바일 앱, 웹사이트, 가전제품의 패널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됩니다. UI 디자인은 컬러, 타이포그래피, 아이콘 등 시각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제품을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UX 디자인은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디자인의 약자로, 제품이나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용자의 니즈와 목표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쾌적하고 효율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UX 디자인은 사용자의 배경, 요인, 행동 방식, 내적 욕구, 정서적 반응 등을 고려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 좋았던 점:
- 깔끔한 개념 설명 : UX와 UI 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하여,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했습니다. 각 개념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 잘 정리되었습니다.
- 역할의 구체성: 제품 디자이너와 UX/UI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도움이 됩니다. 이를 통해 디자인 분야에서의 다양한 역할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프로덕트 디자이너에 대해 기술할 때 기능 중심 조직과 제품 중심 조직을 언급하며 설명되어 있는 부분이 마음에 들었다.
프로덕트 디자이너 - 제품 중심 조직의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 Product Designer 는 디지털을 다루는 디자이너가 비교적 최근 에 얻은 직함이다.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조를 이해해야 한다. 조직 구조에는 크게 제품 중심 조직과 기능 중심 조직이 있는데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제품 중심 조직에 속한다.
반대로 최근 국내외 스타트업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구조가 제품 중심 조직 이다. 이런 형태의 조직에선 기획-디자인-개발처럼 기능 단위로 팀을 구분하지 않고 기업이 개발하려는 제품에 따라 각 파트를 묶는다. 즉, 하나의 큰 서비스에서 검색 팀, 상세 페이지 팀, 탐색 팀, 통계 팀 등으로 나누는 식 이다. 팀마다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디자이너, 엔지니어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를 스쿼드(Squad)라고도 부른다. 같은 스쿼드에 소속해 있지는 않지만 한 조직의 전문가(디자이너, 개발자) 그룹을 챕터 Chaper 라고 부른다. 이러한 명칭들은 조직 특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그리고 개발 배포 후 시장에서의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제품을 점진적 으로 개선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금융, 전자책, 식재료, 여행, 데이팅처럼 특정 산업군 내 속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인터페이스를 빼어나게 만드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종사한 산업군에 대한 깊은 지식(도메인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p26-27)
- 이 조직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프로덕트 오너와 함께 시장에서 직접 고객 니즈를 조사하고 제품 개발에 반영한다. 또, 한 번의 개발 과정으로 결과를 내기보다 기획-디자인-개발 전 과정에 걸쳐 관계자와 긴밀히 협업한다.
기능 중심 조직 - 10년 전 내가 첫 커리어를 시작한 회사는 기능 중심 조직에 가까웠다. A라 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기획 팀, 디자인 팀, 개발 팀이 따로 있었고 각 팀에 는 팀장이 존재했다. 기획자가 기획 문서를 디자이너에게 전달하고 완성된 디자인을 디자이너가 개발자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일이 진행되었다. 이를 워터폴 방식이라 한다. 워터폴 방식에선 각 파트의 기능 전문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능 중심 조직이라고 한다. (기능 중심 조직 : 기획팀 > 디자인팀 > 개발팀)
-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와 같은 디자인 과정을 소개하여, 실제 디자인 작업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설명.
아쉬웠던 점:
-
- 딱히 없음
- 알게 된 개념:
- UX와 UI 디자인의 차이와 상호보완 관계: UX와 UI 디자인이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는 점.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디자인 작업의 중요성.
- 제품 디자이너와 UX/UI 디자이너의 역할: 각각의 역할과 조직 구조에 대해 이해.
- 디자인 프로세스: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와 같은 디자인 과정을 통해, 디자인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해 이해.
반응형
'디자인 > UX U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포넌트 만들기 - 참고하면 좋을 웹사이트 (0) | 2024.05.03 |
---|---|
내가 생각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핵심 역량 (0) | 2024.05.03 |
UX/UI 책 스터디 <사용자를 사로잡는 UX/UI 실전가이드> -2 (0) | 2024.05.02 |
UX/UI 디자인 직무 채용공고 분석 (취업) (1) | 2024.04.30 |
UX/UI 기본용어 정리 (0)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