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은 오토레이아웃 순서 & OS에 따른 차이 & 정보구조도와 플로우 차트 차이 & 와이어프레임 등을 배웠다.
👍 모르는 것은 튜터님들께 바로 가서 질문드리고 해답을 얻었다.
[피그마 실무 2] 1주차 과제 수행 - 그동안 감으로만 작업했던 오토레이아웃 기능, 이번 기회에 개념을 이해하고 연습하는 과정이 되었다. 리사이징을 연습하고, 한 화면에서 여러 요소들을 어떻게 묶어야 바람직한지 질문하며 오토레이아웃에 대한 이해도가 상승했다. 뾰로롱!
Learninig Point 1
오토레이아웃 기능을 사용할 때, 여러 요소가 있다면 활용도(재활용 가능한지)가 높은 순서, 중요도가 높은 순서 등을 고려한다.
Learninig Point 2
✅ 정보구조도 (Information Architecture)가 필수는 아니다. 기획 다음에 반드시 해야 한다!도 아니다. 100개의 회사가 있다는 건 100가지의 정보구조도와 화면흐름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정보구조도와 화면흐름도 flow chart는 유사해보이지만 개념과 목적에 차이가 있다.
- 제품을 하나의 건물에 비유한다면 IA는 층별 안내도, 플로우차트는 오시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 화면흐름도의 여러 명칭 : 플로우 차트 (많이 쓰임), 유저플로우, 유즈케이스)
의도적으로 다르게 할 수도 iOS에서 없는 기능을.. 같이 만드는게 트렌드 아니면 버전을 달리 관리해야해서 어려움이 있기 때문 관리 어려움
웹에서 구동되는 모든 웹 : 웹앱 (어플이 정보가 왔다갔다) 사용자가 어떤 정보를 넣느냐에 따라 반응하는거
-> 웹에서도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Cross platform 하나를 코딩하면 변환을 해줌 각각..
웹사이트... 정보 일방적으로 전달... 누가 와도 똑같은 정보
Learninig Point 3
✅ OS에 따라 안드로이드는 뒤로 가기 설정, iOS는 인디케이터등을 고려해야 한다.
✅ OS에 따라 iOS와 Android 각각 디자인시스템을 따르지만 요즘에는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어서 유저에게 같은 경험을 제공하고, 만드는 사람입장에서도 디자인 버전 관리도 수월하게 하려고 하는 추세라고 한다.
플로우 차트 만들 때 꼭 알아야 하는 국제 표준 규칙들 중에서 이 세가지는 꼭 알아야 한다고 하는데), 매번 공부하고나서는 유저플로우를 자주 만들일이 없어서 까먹는 것 같다. 일단 기호 모양들이 이름이랑 매치가 너무 안되는 것도 한 몫하는 것 같다.

아무튼 저 세 개만 알고 있으면 플로우차트 만드는데 문제 없다고 한다. (나머지는 데이터 관점의 기호들이라 자주 못봄)
-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은 '시작과 끝'
- 모서리 빳빳한 직사각형은 '페이지 단위' '액션 단위' 등을 적는 곳
- 마름모는 조건, yes or no
- 각 박스들을 화살표로 연결이 되어있어야 한다. 그래야 플로우를 확인할 수 있지요~
반응형
'디자인 > 스파르타 부트캠프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레모네이드 만드는 중 (0) | 2024.06.18 |
---|---|
[UX/UI 스터디] 피그마 프로토타입 사용 방법 (0) | 2024.06.18 |
[WIL] 롤러코스터 같았던 한 주 (1) | 2024.06.14 |
[TIL] 그놈이 그 놈 같지만 브랜딩이 있다. (1) | 2024.06.13 |
[TIL] 과제 제출 완료~ KPI 회고 (1) | 202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