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D**(**Job Description)  채용공고를 분석하는 이유

  1. 나 스스로가 이 기업과/직무에 맞는 사람인지,
  2. 이에 맞춰서 나의 어떤 점을 강조하여 지원할 수 있을지 등의 내용을 알아낼 수 있다.

분석하기

내가 일하고 싶은 회사는 어떤 회사인지 생각해보기.

  • 내가 꿈꾸는 업무 환경을 생각하셔도 좋고, 일 적으로 고민해보기(아래 예시).
    • 사원 수 최소 00명 이상
    • 스타트업, 중소기업, 대기업..
    • 복지가 좋은 회사
  1. 1번의 내용을 토대로 관심 기업 혹은 업계를 리스트업. (최소 10개 이상)
    1. 주요 업무 / 자격 요건 / 우대사항 중심으로 직무 채용공고를 분석해 보기.
    2. 위에서 조사한 내용이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역량을 정리해 보기.
  2. UX/UI 디자이너가 하는 일은 무엇인지, UX/UI 디자이너란 어떤 사람인지 나의 생각을 한 줄로 정의해 보기.

아티슨앤오션 - UX/UI 디자이너

 

팀 소개
“아름다운 바다를 더 많은 사람이, 제대로 경험할 수 있도록”
아티슨앤오션은 다이빙 입문자의 진입 장벽을 낮추어 다이빙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수중 레저 스포츠 문화를 선도하는 스타트업이에요.

2013년 창립 이후, 다이브로이드라는 제품으로 넥스트 유니콘 1위와 iF World Design 어워드에 두번이나 선정되었고, 킥스타터, 인디고고 등의 글로벌 크라우드 펀딩(스쿠버 다이빙 섹션) 1위로 백만불 이상을 달성하기도 했어요.

이와같은 성과 덕분에 2020년에는 김정일 대표가 ‘포브스 30세 이하 30인 리더’ 에 선정되었죠!

또한 최근에는 저희 제품이 갤럭시 광고에도 출연하게 되면서 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답니다.
다이브로이드의 성장에 멈추지 않고 아티슨앤오션은 보다 더 빠른 성장과 혁신을 위해 다이빙에 관한 모든것을 담은 애플리케이션, 다이빙 예약 플랫폼, AI 기술을 활용한 수중 생물 인식 / 초 해상화 / 디블러링 등의 서비스 영역의 솔루션도 개발중에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다이빙 인구가 매년 100만 명씩 늘어나면서, 다이빙 시장은 약 10조 원의 규모를 자랑하며, 타 산업군에 비해 소비가 활발한 시장이지만, 해양 스포츠는 아직 아날로그에 머물러 있어 성장의 기회가 무궁무진해요.
이 시장에서의 선두를 선점하고 함께 혁신할 경험을 만들어나갈 당신, 아티슨앤오션에 어서 올라타세요!

주요 업무
 다이브로이드 서비스 UI/UX 디자인 및 기획
• 다이브로이드 신규 프로젝트 App의 UI/UX 디자인 및 기획
•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프로덕트 컨텐츠 기획 및 디자인
• 사내 디자인 라이브러리 관리 및 시스템 구축

자격요건
• 유관 경력 5년이상
• 상용서비스 UI/UX 기획 및 구현 등 프로젝트 리딩 경험
• Usability Test 및 이로 인해 도출된 결과에 따라 개선을 10회 이상 해보신 분
• OS/Android 등 다양한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UI/UX 디자인 설계 및 협업 개발 10건 이상
•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빠르게 구체화하고 Prototype을 제시할 수 있는 분
• 복잡한 정보 · 기술 · 정책들을 이해하여 일관된 유저 경험 설계가 가능한 분
•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UI/UX 구현 방법에 대해서 설명 가능하신 분
• UI 디자인 및 프로토 타이핑 툴(e.g. Figma 등)에 대한 숙련도가 높으신 분
• 디자인 툴 숙련도가 높으신 분(Adobe illustrator, Adobe photoshop)
• 사용자 경험에 대해 잘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트렌드를 리서치하며 이를 디자인에 반영할 줄 아시는 분
• 유연하고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갖추신 분
• 기본적인 영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신 분

* 포트폴리오 제출 필수 (프로젝트별 기여도 필수 기재, 기여도 최소 50%이상 참여 프로젝트만 기재하여 제출)

우대사항
• 프로덕트 및 엔지니어링 조직과 긴밀한 협업 경험이 있으신 분
• IT 업계에 대한 높은 이해를 가지고 계신 분
• 해외 개발팀과 협업 경험이 있으신 분
• 스타트업 팀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거나 이해도가 높으신 분
• 스쿠버다이빙/프리다이빙이 취미이신 분


피플인사이드 - GUI 디자이너

 

팀 소개
글로벌 최고 수준의 GUI 디자이너를 모십니다.
안주하기 보다는 다양한 시도를 하며 도전하고자 하는 열정이 샘솟는 분과 함께 하길 바랍니다.
스스로의 디자인에 대해서 끊임없이 의심하고 사용자의 니즈에 집중하는 분을 환영합니다.

주요 업무
• 국내외 서비스에 대한 UX, UI, GUI 디자인
• 국내외 서비스에 대한 GUI 컨셉 및 프로젝트 수행

자격요건
• UX 분야의 지식과 풍부한 프로젝트 진행 경험
• 문제 해결을 위한 유연한 사고와 실행 능력
• 학사 및 석사는 전공 무관 (박사는 관련 전공 필요)

우대사항
• 창업 경험 (분야 무관)
• 해외 리서치 진행 가능한 외국어 능력


(주)라이트뷰 - UI/UX/Web Designer

팀 소개
선택 가능한 근무지! 서울 or 도쿄 근무 | Forbes에도 게재된 화제의 일본/한국 소재 스타트업에서 디자이너 공개채용!

저희 회사는 자사 앱과 Web 사이트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기업용 솔루션 「LITEVIEW」、크리에이터를 위한 컨텐츠 발신/판매 플랫폼 서비스 「LITEVIEW for CREATOR」그리고 의 개발·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LITEVIEW 는 2022년부터 클로즈드 베타 테스트가 끝나고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본격 서비스 인에 수반해, 2022년 5월에 회사명도 서비스명에 맞추어 LITE VIEW 주식회사로 변경해,
브릿지 라운드로서 약 1억엔의 자금 조달도 실시.
서비스 개시로부터 반년 만에 누계 유저수는 1만명을 돌파, 2024년 2월 현재의 누계 유저수는 곧 10만명에 도달합니다.

주요 업무
• 신규 Web/App서비스 "LITEVIEW"의 디자인에 관련된 모든 업무
• 웹 개발 (HTML, CSS)
• Web / Mobile App UI/UX 디자인
• SNS나 기획서 등에서 사용하는 비주얼 제작 및 디자인 지원
+ 경험에 따라 UIUX 디자인, 멤버/퀄리티 매니지먼트 등
※ 시작 시는 국내용 서비스이므로, 일본의 문화 배경에 대한 이해가 있고, 일본의 Web 서비스에 친숙한 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자격요건
• Sketch or Figma 사용 가능자
• Adobe 사용 가능자
• 일본어 회화 가능 (JLPT N2 또는 이와 동등한 수준의 회화 가능)

우대사항
• 디자인 시스템 관리 및 구축 경험
•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사용자와 비즈니스에 맞는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있는 분


(주)도르코퍼레이션 - 프로덕트 디자이너

팀 소개
도르는 게임 플레이를 자동으로 녹화하고 편집하여 공유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입니다. AI와 기술을 통해 누구나 자신의 게임 경험을 영상으로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23.9월 서비스 출시 이후 매주 3-4회 이상의 업데이트를 거쳐 빠르게 PMF를 찾았고, 매월 수십만명이 사용하는 서비스로 성장했습니다. 전세계 게이머를 연결하는 큰 꿈을 함께할 도르팀의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찾습니다. 함께 빠르게 성장하며 큰 임팩트를 만들어내고 싶다면 도르팀에 지원해주세요.

주요 업무
도르팀의 디자이너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합니다.
• Product Designer는 제품에서의 사용자 경험과 디자인에 관해 모든 책임과 권한을 갖습니다.
• UX, UI 디자인을 포함한 제품 기획 및 디자인 설계의 모든 과정에 관여하고 의사 결정합니다.
• 고객의 VOC와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수집하고, 개선하는 작업을 매우 빠르게 반복합니다.

팀에서 만들어갈 서비스
• 게임 플레이 자동 녹화 (Record) :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게임 플레이를 자동으로 녹화합니다. 만들어진 클립을 이용하거나 다시 보기 쉽게 제품을 개선합니다.
• 게임 영상 편집기 (Edit) : 게임 영상 편집에 특화된 영상 편집 및 효과를 개발합니다. 기존 편집기와 다르게 학습 필요 없이 누구나 영상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제품을 만듭니다.
• 커뮤니티 (Community) : 만들어진 게임 영상을 친구들이나 다른 게이머들에게 공유하고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도록 제품을 만듭니다.

도르팀은 이렇게 일해요
• 도르팀은 대표가 원하는 제품이 아닌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만듭니다.
• 1~2주의 이터레이션 기간동안 가설을 수립하고, 제품을 만들고, 데이터를 측정하고, 학습하고, 이를 반복합니다.
• 데이터와 유저들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자율과 책임을 갖고 제품을 만들어 나가요.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빠른 실행 및 학습을 통한 성장을 만들어 나가요.

자격요건
• 고객의 목소리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과 비즈니스를 만들어가는 분
•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출시하고 사용자의 voc를 기반으로 이터레이션한 경험
•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기획/디자인/출시 해본 경험과 이를 위해 구성원들을 설득하고 협업을 해본 경험
• Figma, Adobe 서비스 등의 툴을 이용하여 높은 수준의 App UI를 구성할 수 있는 분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집착해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분
• 실행력, 사고력, 학습능력이 빠른 분
• 고객의 숨은 니즈를 파악해서 제품으로 구현할 능력을 갖춘 분
• 세상에 큰 임팩트를 만들고 싶은 분

[이력서와 포트폴리오에서 이런 점을 알려주세요.]
• 데이터와 voc에 기반하여 스스로 정의하고 해결해본 문제가 있는지 궁금해요.
• 지금까지 만들었던 Product에 기여한 부분,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 레슨런, 구체적인 수치와 성과를 알려주세요.
• 업무와 경력의 나열이 아닌 지원자님의 동기, 고민, 액션, 학습, 성과 등이 궁금해요.

우대사항
• 논리적인 사고 능력과 이를 기반으로 팀원들을 설득하고 협업을 할 수 있는 분
• 스스로 특정한 문제를 해결해서 임팩트를 만든 경험이 있는 분
• 웹,앱 개발 후 배포까지 진행해서 결과를 만들어낸 경험이 있는 분 (실패한 경험이여도 좋습니다.)
• 영어가 가능하신 분을 우대합니다.
• 영상 편집, 소셜 미디어 서비스, windows 앱에 대한 높은 이해도


더핑크퐁컴퍼니(주) - 유아동 게임 앱 UX/UI 디자이너

팀 소개
더핑크퐁컴퍼니는 영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 음원, 공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게임, 라이선스 제품 등 온·오프라인 콘텐츠를 제작, 유통, 서비스하는 글로벌 패밀리 엔터테인먼트 기업입니다. 자사 대표 브랜드 ‘핑크퐁’, ‘아기상어'에 이어 신규 IP ‘베베핀'과 전연령 타겟의 ‘씰룩'을 런칭하며 유·아동 콘텐츠 기업을 넘어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더핑크퐁컴퍼니 앱사업실은 누적 다운로드 4억회 돌파, 전세계 112개국 1위를 기록한 핑크퐁 모바일 앱 시리즈를 기획/개발하며 디지털 콘텐츠 사업을 이끌고 있습니다. 앱사업실 소속 앱기획팀은 아기상어, 핑크퐁, 호기 등 더핑크퐁컴퍼니의 캐릭터 IP를 활용한 모바일 앱을 통해 전세계 아이들에게 즐거운 경험을 주는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앱기획팀에서 핑크퐁 앱 디자인을 담당해주실 유아동 게임 앱 UX/UI 디자이너를 찾습니다. 함께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즐겁게 모바일 앱을 만들어가실 분은 지금 바로 지원해주세요.

주요 업무
• 핑크퐁 앱 시리즈의 게임 및 UX/UI 디자인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디자인
• 모바일 앱 서비스 리소스 디자인 (앱 아이콘, 스크린샷)
• 모바일 앱 홍보 팝업 및 배너 디자인

자격요건
• 2년 이상 8년 미만의 모바일 앱 서비스 UX/UI 디자인 경력이 있는 분
• Adobe Photoshop, Illustrator 툴 활용이 능숙한 분
• 팀 작업에 익숙하고, 동료들과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한 분
• 새로운 툴 사용에 대해 거부감이 없는 분

우대사항
• 핑크퐁 앱 시리즈를 사용 경험이 있는 분
• Zeplin, Figma, Adobe Animate 툴을 다룬 경험이 있는 분
• 유아 콘텐츠 또는 IT 플랫폼 디자이너로서의 경험이 있는 분
• 협업 툴(JIRA, Slack, Notion 등)을 잘 다룰 수 있는 분


株式会社LIFESHOT - UI/UX디자이너 신입

팀 소개

주요 업무

 

자격요건

 

우대사항
없음


(주)왈라아이시티 - UX/UI 디자이너

팀 소개

주요 업무

자격요건

우대사항


(주)이오그라운드 - AI 모바일 앱 UXUI 디자이너

팀 소개

주요 업무

 

자격요건

 

우대사항


패니지먼트 - UX/UI 디자이너

팀 소개

 

주요 업무

 

자격요건

 

우대사항


시원스쿨 - 앱/웹 UI 디자이너

팀 소개

주요 업무

 

자격요건

 

우대사항


 

내가 일하고 싶은 회사는 어떤 회사인가...

- 영어 쓸 수 있고, 국제적으로 일할 수 있는 곳이면 좋을 것 같다.
- 역량을 펼칠 수 있고, 성장할 수 있는 곳
- 유저에게 더 공감할 수 있는 관심 분야
- 화장실 쓸 때 마음이 편한 곳..(전에 볼일 보는 소리를 다 들을 수 있던 곳에 일해서;;;)
- 마음편하게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었으면.


스크랩한 직무 채용공고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역량 : 피그마, 문제정의해결, 외국어 능력, 커뮤니케이션



UX/UI 디자이너가 하는 일은 무엇인지, UX/UI 디자이너란 어떤 사람인지 나의 생각을 한 줄로 정의하기 :

(공통으로 언급된 역량을 고려해서) UX/UI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고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여(이를 위해 요즘 제일 많이 사용되는툴은 피그마다.)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사람이다.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며, 외국어 능력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필요로 한다

반응형
반응형

큰 그림부터 살펴보자면, UX는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전반적인 경험을 나타내며, UI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 둘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함께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한다.

1. 유저 경험(User Experience, UX):

  • 사용자 중심 디자인(User-Centered Design): 사용자의 니즈와 행동을 중심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접근 방식.
  • 유저 리서치(User Research): 사용자들의 행동, 선호도, 니즈 등을 조사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개선점을 파악하는 활동.
  •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초기 버전의 제품을 만드는 과정.
  • 유저 플로우(User Flow):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
  • 유저 테스트(User Testing):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를 테스트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

2.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 레이아웃(Layout): 화면에 요소들을 배치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
  • 컬러(Color):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감정을 유발하기 위해 색상을 활용하는 것.
  • 아이콘(Icon): 간결하고 직관적인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기능을 제공하는 것.
  • 버튼(Button): 사용자가 클릭하거나 탭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는 요소.
  • 폰트(Font): 가독성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텍스트에 적절한 서체를 선택하는 것.
  • 애니메이션(Animation): 사용자의 시선을 끌거나 특정 기능을 강조하기 위해 화면 요소에 동적인 움직임을 부여하는 것.

이러한 UX UI 용어들은 제품 또는 서비스를 디자인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용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할 있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한다.

 

  • MVP (Minimum Viable product) : 최소한의 자원, 인력으로 시장에서 검종해 볼 수 있는 버전의 제품. 최소 기능 제품이라고도 부른다.
  • W3C : 웹(www) 표준을 장려하는 조직으로 HTML, KHTML. CSS 등 웹 관련 기술의 표준을 담당한다.
  •  피처 (Features) :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에서 기능 단위를 뜻한다. 실무에서는 '피쳐 단위'라고 자주 표현한다. 핵심 기능을 키 피처(Key Features) 라고 부르며 맥가이버 칼처럼 기능이 먹지덕지 불어버린 상태를   피치(Feeturs)이라고 부른다.
  •  액세서빌러티(Accessibility) : '접근성'을 뜻한다. 설계한 기능이 고령자나 장애인도 충분히 사용할 만큼 접근성이 좋은지를 가늠하는 용어로, W3C에서 관리하고 있다.
  •  피저빌러티(Feasibility) : '실현 가능성'을 뜻한다. 현재 팀의 자원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이 자원으로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지, 실현 가능성을 검토할 때 사용하는 용 어다.
  •  가이드라인(Guideline) : '기준'이나 '지침'을 뜻한다. 디자인 시스템이나 코딩 가이드, 운영 가이드 등이 여기 포함된다. 구글의 머티리얼 디자인이 대표적이다.
  •  VOC(Voice Of Customer) : '고객의 소리'를 뜻한다. 사용자의 리뷰, 불만 등이 여기 해당하며 보통 고객 관리 팀을 통해 접수한다. VOC는 사용성을 개선할 때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된다.
  •  태스크(Task) : 사용자가 최종 단계에 도달하기까지 수행해야 하는 절차'를 뜻한다.
    예를 들어 스파게티 요리법을 검색해 레시피를 확인한다면 '웹사이트 열기 - "스파게 티 요리법" 검색 - 마음에 드는 블로그 클릭 - 내용 확인하기' 같은 절차가 필요할 것 이다. 이때 하나하나의 과정이 태스크에 해당한다.
  •  UGC(User Gonerated Content) :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콘텐츠'를 뜻한다. 사용자가 직접 촬영해 업로드한 사진이나 영상이 여기 해당한다.
  •   피델리티(Fidelity) : 시각적으로 최종에 얼마나 가까워졌는가를 판가름하는 충실도를 뜻한다. 퀄리티에 따라 로우 피델리티(Low Fidelity)와 하이 피델리티(High Fidaity)로 나눈다.
  • 스토리보드(Storyboard) : 페이지, 플로우, 로직, 이동 흐름 등이 상세히 쓰여 있는 기획 문서. 줄여서 SB라고 부르기도 한다.
  • 어포던스(Affordance) : 행동 유도성.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보기만 해도 다음에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 즉각적으로 알 수 있어야 한다.
  • 유저빌러티(Usabillity) :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능이 어느 정도로 사용하기 쉬운가'를 뜻하며 사용성이라고도 부른다.
  • UT(Usabillity Testing) : 같은 팀이 모여 유저빌러티를 테스팅하는 단계를 뜻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