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쟁사 분석이 필요한 이유는 시장의 '진짜' 경쟁사를 분류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 서비스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경쟁사 분석이 필요한 이유

BY 스티븐 더글라스 Steven Douglas (Shopify 콘텐츠 디자이너)

  • 시장에서 통용되는 사용성(멘탈 모델)을 발견하기 위해 ▶️ 이런 기능 개발의 우선순위를 높여야 한다.
  • 우리 서비스의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 목표를 발견하고 집중하기 위해
  • 서비스가 시장 어디쯤에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 경쟁사의 강점과 약점을 알기 위해
  • 우리 제품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
  • 제품의 기능 변경 시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즉, 경쟁사 분석의 핵심은 우리 서비스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위함이다.

 

경쟁사에는 직접 경쟁사(우리 서비스와 동일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격대도 유사)와 간접 경쟁사(수익 창출 방법은 다르나 잠재적 경쟁사가 될 수 있는 서비스들)가 있다. 이 중 '진짜' 경쟁사를 발견하려면 분석하기 전 '경쟁사 분석 표'를 작성한다.

 

경쟁사 리스트 목록

  • (직접/간접) 경쟁사 이름
  • 앱스토어 주소 (접속 링크) or 접속 ID
  • 앱의 목적
  • 생성일

기능 비교 표 만들기 

경쟁사들이 보유한 기능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만들면 우리 서비스에 구현해야 할 기능을 한눈에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도 파악할 수 있다. 그렇다고 경쟁사의 모든 기능을 구현할 필요는 없다. 꼭 필요한 것만. 가진 자원을 고려해 어떤 기능을 먼저 구현하는게 가장 효율적일지 고민해야 함.

 

+ 우리 제품 서비스가 시장 어디쯤 있는지, 무엇을 더하거나 덜어야 할지 등을 파악하기 위한 여러 프레임워크

1. SWOT 분석

이미지출처 : 세일즈 포스

가장 대중적인 경쟁사 분석 프레임워크.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강점, 약점, 기회, 위협). 경쟁사 분석뿐 아니라 경경 전략을 수립하는 데도 자주 사용한다.  4분면으로 나눠 각 면에 내용을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

장단점 : 제품 설계시 영향을 미치는 내부(강약점)와 외부(기회와 위협)를 평가하는 적합하지만 4가지 범주로만 제한하는 것은 가설을 지나치게 단순화할 수 있으니 너무 맹신하지 않기.

2. BCG 매트릭스 (Growth-Share Matrix)

이미지 출처 : 매거진한경

컨설팅 그룹에서 만든 사업 포트폴리오를 분석하는 기법. 세로축은 시장 성장률, 가로축은 시장 점유율.

각 분면을 별, 캐시카우, 개, 물음표 기호로 분류.

별 : 시장 성장률, 시장 점유율이 모두 높은 사업. 기업을 대표하는 핵심 사업일 가능성이 높다.
캐시카우 : 수익성 ⬆️ 높지만 성장률은 ⬇️. 별이었던 사업의 시장 성장률이 떨어지면 캐시카우가 되기도 함.
개 : 시장 성장률, 점유율 모두 ⬇️ 낮은 사업. 장래성이 없어 시장에서 철수될 가능성이 높다.
물음표 : 시장 성장률 ⬆️ 높지만 시장 점유율이 ⬇️ 낮은 사업. 경영 방향에 따라 별 또는 개가 됨. 점유율을 높이지 못하면 현금 유출로 조직 내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계열사가 있는 대기업에 맞는 프레임워크 같지만 다양한 기능이 있는 앱에 적용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앱이라면 송금, 주식, 가계부 같은 기능 하나하나가 사업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다.

 

3. 지각 매핑 Perceptual Mapping

이미지 출처 : BoardMix

경쟁사 사이에서 우리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위치를 시각화해 사용자들이 특정 축에서 떠올리는 다양한 브랜드의 맵을 그리는 것. 주요 쟁점을 바탕으로 2가지 축을 설정해 지각 매핑을 그려 본다면 시장에서 우리 제품 또는 서비스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다.

이 기법들은 오랜 시간 시장에서 검증되었고 객관적으로 사고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시장은 역동적이고 예측하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이 분석 기번들이 이런 시장 역동성을 단순화할 수도 있으니 활용은 하되 맹신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보는 것이 중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