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협업의 핵심입니다

디자인과 개발의 협업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피드백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그 피드백이 나오게 된 맥락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었습니다. 두 가지 경험을 통해 이를 깊이 깨닫게 되었습니다.

1️⃣ 유저 피드백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문제를 잘못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지도 화면에서 "장소 정보 섹션이 답답하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 처음에는 단순히 크기를 키워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피드백의 배경을 살펴보니 유저가 바텀 시트를 조절할 수 없어 답답함을 느꼈다는 점이 핵심이었습니다.
  • 이에 따라 단순히 UI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바텀 시트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변경하여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2️⃣ 협업에서는 의견보다 맥락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개발자 한 분이 앱 버전 관리를 별도 섹션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하셨습니다.
  • 처음에는 일반적인 방식과 다르다고 생각했지만, 왜 그런 의견을 주셨는지 여쭈어보았습니다.
  • 개발자께서는 유저가 업데이트를 확실히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신 것이었습니다.
  • 이에 따라 별도 섹션을 추가하는 대신, 설정 화면의 공지사항 섹션에서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해결했습니다.

💡 이후로는 피드백을 받을 때마다 ‘이것이 진짜 문제인가?’를 먼저 고민하는 습관을 갖게 되었습니다.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더 나은 UX 디자인과 원활한 협업을 위한 핵심 요소임을 배운 경험이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년에 두 번, 여름과 겨울마다 일본 나가노에 가서 코리안 파티를 열고 있어요! 매번 한국 음식을 만들어 대접하는데, 가끔 메뉴판 디자인도 직접 합니다. 작년에 만든 포스터를 보다가 너무 맘에 들고 귀여워서 여기에도 공유해 봐요!

반응형

'디자인 > 디자인 워크샵 정리 in E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phic Design Tips and Tricks  (0) 2021.03.10
반응형


요즘 한창 일본어 공부 중이다.
JLPT 시험을 보게 되어 단어를 외우려고 다운로드한 앱.
회독 JLPT


앱을 사용할 때마다
이렇게 팝업 문구가 뜨는데
유저를 동기부여 하는 여러 문장들이 돌아가며 나온다.

오케이.
여기까지 좋다.
하지만 유저인 내 마음을 불쾌하게 하는 문구가 있다.

바로 이것.
이 문구만 아니었으면 벌써 리뷰를 남기고도 남았을 듯.

왜 사용하는 모든 유저를 잠재적 적으로 돌리는
유엑스 라이팅을 선택했을까.

볼 때마다 인상 찡그려진다.

반응형
반응형

 

가끔 UX/UI 디자이너 공고를 보면 원하는 포트폴리오 구성을 알려주는 곳들도 있다. 오늘은 유난히 세세하게 알려주는 곳을 발견해서 챗지피티에게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답변을 받고 따로 정리한다.
 

1. 포트폴리오 분석 및 업데이트

  • 요구 사항 확인: 요청된 4개 이상의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 사례(SaaS, CRM, ERP, 대시보드 등)를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프로젝트 중 해당하는 사례를 식별하세요.
  • 프로젝트 정리:
    • 프로젝트 이름과 목적
    • 사용자 문제와 요구 사항
    • 디자인 프로세스(리서치,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이핑, 피드백)
    • 결과물(화면 디자인, 사용자 피드백, 성공 지표)
  • 비주얼 중심 구성: 텍스트보다 화면 설계, 대시보드, 인터페이스 구성 등을 이미지와 함께 시각적으로 정리하세요.
  • NDA가 있는 경우: NDA로 인해 공유할 수 없는 작업이라면, 작업 프로세스와 유사한 허용 가능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슷한 프로젝트를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미리 정리하여 인터뷰에서 설명할 준비를 하세요.

2. 시각적 품질 개선

  • 통일성 유지: 동일한 스타일과 레이아웃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일관성을 유지하세요.
  • 강력한 비주얼: 대시보드, 그래프, 데이터 시각화 등 주요 화면을 돋보이게 보여주세요.
  • 툴 활용: Figma, Adobe XD, Sketch 등을 사용하여 깔끔하게 정리된 스크린샷과 모형을 만들어 제공하세요.

3. 프로젝트 설명 준비

  • 주요 성과 강조:
    • 복잡한 구조를 어떻게 단순화했는지.
    • 사용자 경험(UX)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한 디자인 사례.
  • 숫자와 데이터: 클릭율 향상, 사용자 유지율 증가, 작업 시간 단축 등의 데이터로 성과를 입증하세요.

4. NDA 프로젝트 공유 방법

  • 인터뷰 중 시연 준비: NDA가 있는 경우 인터뷰에서만 공유 가능한 프로젝트를 시연하기 위해 준비하세요.
    • 화면을 설명할 수 있는 간결한 스크립트를 만들어 두세요.
  • 모의 인터뷰: 친구나 동료와 함께 인터뷰 시나리오를 연습하며 설명을 매끄럽게 연습하세요.

5. 추가 자료 준비

  • 웹 애플리케이션 관련 사례 부족 시:
    • 가상 프로젝트를 준비하세요. 예를 들어, 대시보드 디자인 리디자인 프로젝트를 생성해 실제 프로젝트처럼 포트폴리오에 추가하세요.
    • 이전 작업과 유사한 SaaS, CRM, ERP 등을 빠르게 이해하고 응용한 프로젝트를 준비하세요.
  • 지원 회사와 관련된 산업 분석: 회사가 SaaS나 CRM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이해하고 관련 포트폴리오에 연결하세요.

6. 전달 방식

  • 온라인 포트폴리오: Behance, Dribbble, 개인 웹사이트 등에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업로드하세요.
  • PDF 버전: 필요시 이메일로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PDF 포트폴리오도 준비하세요.

예상 질문 대비:

  1. 이 디자인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이었나요?
  2.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한 사례는 무엇인가요?
  3. 복잡한 데이터 시각화를 간단히 만든 경험이 있나요?

 


용어 정리 & 포트폴리오 준비 방법

1. SaaS (Software as a Service)

  • :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 : Google Workspace(Gmail, Docs), Slack, Dropbox.
  • 특징:
    • 설치가 필요 없고,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실행.
    • 사용자는 구독 형태로 서비스 비용을 지불.
    • 종종 복잡한 인터페이스(여러 사용자 유형과 데이터를 처리).

2.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 고객 관계 관리 소프트웨어.
  • : Salesforce, HubSpot CRM, Zoho CRM.
  • 목적:
    • 고객 데이터 관리(연락처, 구매 기록).
    •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개선.
    • 영업, 마케팅, 고객 지원 프로세스를 통합.
  • 디자인 측면: 복잡한 대시보드, 데이터 입력/조회 화면, 워크플로 관리.

3.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 기업 자원 관리 소프트웨어.
  • : SAP, Oracle ERP, Microsoft Dynamics.
  • 목적:
    • 기업 내부의 다양한 부서(재무, 인사, 제조, 공급망 등)를 통합 관리.
    • 운영 효율성과 데이터 가시성 향상.
  • 디자인 측면: 대규모 데이터 시각화, 여러 부서를 위한 사용자 정의 가능 화면.

4. 대시보드 (Dashboard)

  • : 주요 데이터와 정보를 한 화면에서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인터페이스.
  • : Google Analytics 대시보드, 프로젝트 관리 도구(Jira, Trello).
  • 목적:
    • 데이터를 분석하고 의사결정을 지원.
    • 사용자에게 실시간 정보 제공(예: 매출, 사용자 활동, 프로젝트 상태).
  • 디자인 측면: 그래프, 차트, 테이블, 필터 기능 포함.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이 용어들은 복잡한 비즈니스 소프트웨어의 종류 또는 핵심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사용자 유형, 복잡한 데이터 처리, 그리고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UX/UI 디자인을 요구한다. 포트폴리오를 준비할 때 이러한 소프트웨어 유형에 맞춘 사례를 포함하면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포트폴리오 웹사이트를 내가 직접 만들고 싶어서
공부하기 시작한 코딩 공부.
그 시작은 HTML CSS.

과거에 한 번 공부에 도전했다가 재미없어서 실패했지만
이제는 헤매어도 나를 도와주는 챗지피티가 있어서 다행이다.

왠지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스스로 웹사이트를 만들 것 같다!!

신난다!

궁금한 거 있음 항상 챗지피티 선생님을 찾는다.

반응형
반응형

쉽지 않다. 그래도 마감일이 있으니 언젠가 끝이 나겠지. 이 과정 속에서 성장하는 내 모습에 뿌듯하다. 개인으로 작업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네 명이서도 빡센 걸 보면 혼자서는 쉽지 않을 것 같다. 앞으로 나올 과정을 기대하며 한 주를 마감한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주는 장표의 세계.. 설득과 거절당함의 세계였다. 음하하.
새벽부터 팀원들을 설득하기 위해 어제 까인 아이디어를 장표로 구성하여, 아침에 출근하자마자 호소하였고, 튜터님을 찾아가 아이디어를 인정받았다. ㅋㅋㅋㅋㅋ 힘들었지만 이 팀 작업으로 팀플 경험치를 쌓았다고 생각한다. 음하하.

오늘은... 야작을 할 거 같다. UXUI는 쉽지 않다. 장표 디자인.. 신경 안 쓰고... 내는 것에 의미를 두겠다.. 우리 팀 파이팅.. 살아남읍시다..!!

반응형
반응형

 

바쁘게 흘러간 한 주였다.

한 주 동안 작업한 것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반려동물 키우는 분들 (막 키우기 시작한, 키운 지 좀 된 분들 나누어서)과 동물병원 관계자들을 나누어서 2차 심층 인터뷰 마무리하고, 거기서 나온 것들 바탕으로 문제 정의와 가설을 정의했다.

문제정의하고 가설정의하는 데 좀 오래걸렸지만 나와줘서 고맙다 얘들아.. 이제 본격적으로 솔루션 아이디에이션 시작하였고, 차별화를 어떻게 할지 고민하며 페르소나와 유저 시나리오를 다시 다듬어 보았다.

이상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